본문 바로가기

Project

[Project] 네이버, 구글 서치 콘솔 등록(SEO)

프로젝트 구현 목표(1차)

  1. 'happybirthday00.com' 도메인 구매 및 웹 호스팅
  2. 해당 도메인 구글,네이버 SEO 하기
  3. 메인 화면 (D-Day Timer) 개발
  4. 방명록 작성 및 조회 화면 개발

이제 2번 과정 해당 도메인에 대해서 구글, 네이버에서 SEO를 진행하는 것이다.

검색엔진 최적화(SEO)란?

검색엔진이 이해하기 쉽도록 홈페이지의 구조와 페이지를 개발해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.

간단히 말해 구글, 네이버 검색창에 내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내 사이트가 상위에 뜨도록 하기 위한 작업이다.

구글 SEO 작업

먼저 구글 서치 콘솔 에 접속해서 내 도메인 입력한다.

도메인 입력 시

아래와 같이 도메인 이름 제공 업체에 DNS 설정에 복사하라고 한다.
여기서 조금 헤맸는데 처음에 가비아에서 했다가 적용이 안 됬다.

 

찾아보니 Netfliy에서 해야한다는 것을 알았다.
도메인을 Netfliy쪽에 연결하면서 DNS서버를 Netlify 쪽을 사용해서 그런 것 같다.

 

좌측에서 Domain management 클릭!

그리고 해당 주소의 DNS panel에 간다.

여기에 값을 부여 넣고 저장한다.
이러면 구글 SEO는 끝이다.


찾아보니 최초 사이트 수집이 바로바로 되는 건 아니고
적어도 1~2주는 걸린다고 하니 일단 여유를 가지고 기다려보자.. 라고 하고 싶지만 2주 뒤면 너무 늦는데..
흠.. 그래도 기다려보자..!!

네이버 SEO 작업

네이버의 경우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라고 한다.
로그인 후 사이트를 추가하는데 static 경로에 html 파일을 하나 집어 넣으면 된다.
해당 파일 프로젝트 public 폴더에 커밋 후 사이트를 등록하였다.

 

 

등록이 완료되면 웹마스터 도구를 확인 가능한데, '간단체크'로 확인이 가능하길래 확인 해봤다.

 

 

그랬더니 robots.txt가 없다고 떠서 깜짝 놀랐는데 그게 아니라 Disallow:/ 로 되어 있어서 그런 거였다.

Allow:/ 로 변경하고, 아래의 검증 메뉴의 robots.txt에 수집요청을 눌러주자.

 

그리고 마지막으로 웹 페이지 수집 요청을 넣자.

 

 

어차피 지금 콘텐츠가 아예 없다.. CRA(create react app)만 있으니 콘텐츠는 차차 추가하는 걸로 하자.

Meta 태그관련 SEO 작업

구글과 네이버 쪽 서치 콘솔 등록 작업을 완료했고, 프로젝트에 SEO 관련된 것들을 넣어야 한다.

사실 리액트는 CSR이기 때문에 SEO에 좀 불리하긴 하지만..

react에서 seo 하는 방법과 같이 방법이 없는 건 아니다보니 이대로 진행하기로 했다.

 

SEO 관련해서 채점표나 점수를 측정하는 SEO 측정 확장 프로그램들이 있었지만

콘텐츠가 없는 지금은 좀 무의미하다고 생각해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작업만 했다.

 

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가이드 문서 에 따라 title, meta 태그 작업만 간단히 진행해줬다.

마찬가지로 SEO 관련해서는 기다렸다 차주(04.19)정도에 한번 더 점검해보는 것으로 하자.

'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roject] 도메인 구매 및 Netlify에서 웹 호스팅  (2) 2024.04.12
[Project] TOY 프로젝트 0429 Start!  (0) 2024.04.11